로고

대치W내과
  • 수면내시경센터
  • 대장내시경(수면)
  • 수면내시경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장내시경(수면)

    대치W내과에서 가족같은 진료를 약속드립니다.

    대장내시경 32,000건, 대장용종제거술 19,000건에 빛나는 풍부한 경험과 숙련된 기술로 선보입니다.
    여원장이기에 가능한 한결 마음편안한 W내과 수면내시경!
    사람은 나이가 들어갈 수록 몸이 노화되어 자연적 혹은 병적으로 대장안에 “대장내 용종” 으로 불리는 혹이 생기게 됩니다.
    이 혹은 방치할 경우 대장암으로 발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대장내시경을 시행하면서 발견즉시 실시간으로 확인 후 용종을 제거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치W내과의 김현정 원장은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의 풍부한 경험으로
    32,000건 이상의 대장내시경 그리고 19,000 이상의 대장용종제거술을 시행한 대장내시경 분야의 베테랑입니다.
    이미지

    대장 내시경 검사란?

    • 대장내시경검사는 끝에 소형 카메라가 달린 지름 1 cm 정도 되는 긴 관을 항문을 통해 직장과 S상 결장, 하행 결장, 가로 결장, 상행 결장을 거슬러 올라가 대장이 시작되는 오른쪽 아랫배까지 약 1m 정도 집어 넣은 후, 서서히 빼내면서 대장 내부를 카메라가 찍어 보내는 화면을 통해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대장내시경 대상자

    • 대장 용종, 장결핵, 대장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대장 게실, 그 외의 장염 등을 진단할 수 있고 더불어 이상 병변이 있을 때 조직 검사가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치료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

      - 장관으로부터의 출혈 원인 불명의 만성설사
      -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 및 추적 대장 게실이나 악성질환의 감별 복부(하복부)통증
      - 배변 습관의 갑작스런 변화
      - 조기대장암 발견
      - 가족에 대장암의 병력이 있는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과정

      • 환의 갈아입기
      • 전처치
      • 내시경 검사
      • 결과상담/수납
      • 귀가

      - 검사전날 저녁식사를 간단히 하고 검사시간까지 금식입니다. 생수나 이온음료는 검사와 상관없이 충분하게 드셔도 됩니다.
      - 검사 전날 저녁과 당일 아침에 장 청소약을 먹어 장을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콜론라이트 용액을 검사3-4 시간전 2-4L 마시거나, 솔린액을 검사전날 저녁, 검사당일 아침에 나누어 마시고 난후 맑은 액체가 나올때까지 충분히 설사를 한 후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 검사 전에 안정을 위해 진정제와 진경제를 주사를 맞습니다.
      - 검사는 항문으로 내시경을 넣고 구불구불한 대장을 들어가 맹장까지삽입하고 관찰하면서 필요하면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 검사시간은 사람에 따라 다르나, 대개 10-20분이 소요됩니다.
      - 염증이나 궤양, 용종이 발견되거나 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내시경 하는 도중에 조직검사 및 특수염색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조직검사 결과는 일주일 내에 확인가능하며 이때 추가검사비용이 들어갑니다.
      - 검사가 끝난후 바로 식사하셔도 무방합니다.
      - 검사 후 복부 팽만감이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소실됩니다.
      - 수면제가 투여되오니, 검사 당일 자가 운전은 삼가셔야 하며, 부득이 운전이 필요할 경우 담당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 - 대장내시경 검사는 위험한가요?
      대장내시경검사에 따른 합병증이 (매우 드물게 1,000명 당 1명 이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합병증이 발생하면 응급 처치를 요하며 때로는 긴급 수술이 필요하므로 심한 통증, 출혈, 구토, 고열 등이 있을 때에는 지체 없이 병원에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환자는 어떤 분들인가요?
      임산부, 녹내장, 전립선 비대증, 신장질환, 고혈압 및 심장질환, 출혈성 및 기타혈액질환, 간 질환, 폐질환 및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 질환, 약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 아스피린 혹은 쿠마린을 복용하는 분, 당뇨병으로 인슐린을 쓰고 있는 분 등입니다.